글
이런 대회에 참가하려면 미리 준비해둘 것이 있다.
이왕이면 착실하게 준비해보면 좋겠다.
1.5년 동안 반절 만들고,
다음 1.5년 간 나머지를 만들어야지.
공부는 별개로 skiena 강의를 보면서 해야겠다.
필요한 것
(general) input parser
test case
test input generator
output parser, output 비교 검증기
output formatter
graph 중간 결과를 출력해볼 수 있는 도구
간소한 logic에 의한 output 검증기 (optimal인지는 검증 못하더라도 조건에 맞는지 검증하기)
bruteforce 풀이 생성기
중간 결과를 맘대로 조작해가면서 볼 수 있는 debugger
간소한 logic에 의한 output 검증기 (optimal인지는 검증 못하더라도 조건에 맞는지 검증하기)
bruteforce 풀이 생성기
중간 결과를 맘대로 조작해가면서 볼 수 있는 debugger
analysis
연산량 예상하기.
극한 capacity 인지하기 (memory 어디까지, 연산량 어디까지)
libraries
- graph
- dfs, bfs, search tree
...
준비물
종이, 펜, 컴퓨터, algorithms 책 (눈에 익숙한 것으로),
1년 안에
general input parser tool 을 만들어야겠다.
grammar를 입력하면 data를 import해주는 tool
언어는 뭘로 선택할까
잘 통용되는 것은 java이겠다.
언젠가, ruby interpreter를 공부할 꺼라면, ruby를 공부해보는 것도 좋겠지만, 저 위 준비물을 다 만들 자신이 없네.
그리고, ruby 등은 통용이 안될 때도 있다.
중간 결과를 조작할 수 있는 interpret 언어가 좋기는 하겠는뎅.
합격점이 35점밖에 안됐었는데, 그것도 모르고 너무 무리했었다.
보통의 algorithms도 large input도 엄청 빨리 실행할 수 있는데, 그것도 모르고 너무 무리했었다.
괜히 위축돼 있었네.
'공부 > Comput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 Gogle code jam Round 1A, I read problems (0) | 2012.04.28 |
---|---|
Programming scala 책을 처음 읽기 (0) | 2012.03.24 |
Scala 공부하기 (0) | 2012.03.24 |
java 또는 web framework 공부하기 준비 (0) | 2012.03.20 |
podcast rails 강의 (0) | 2012.03.20 |
layout resource 설명 모으기 (0) | 2012.01.06 |
android layout 편집기 요새 기능 설명 보기 (0) | 2012.01.06 |
spring seminar 스크랩 (0) | 2011.12.20 |
ios memory management 한글 문서 읽기 (0) | 2011.11.30 |
ios 설정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video 찾기 (0) | 2011.11.25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