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스텀 뷰를 만들기 전에 한 번 꼭 보기.

View에 override할 만한 method가 너무 많은데, 그 중 어떤 것들이 필수인지 알 수 있다.

간단한 소개, 설명도 들을 수 있다.


자세한 동작은 View.java 등에서 소스를 직접 보면 알 수 있다.


LayoutParams, onSaveInstanceState 등이 인상적이다.


2번 봤다.


android measure, layout pass 설명이 좀 적다. 이거 가르쳐준 session이 과거에 있었던 것 같은데, 제목이 생각나지 않는다.


android 3.0부터 가능한 hardware rendering에 대해서 더 알려면 다른 영상을 더 봐야 하겠다.

제목은 모르겠다.




by 언제나19 2013. 12. 15. 00:01


일본 모 자격증 국가시험 문제 중에 에스트로겐의 생성장소를 묻는 객관식 질문이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기출문제인지 문제집인지 모르겠네.

그런데, 난소 이외에도 여러 곳에서도 생성되네.. 문제가 잘못된 것 같다.

일본 문제 꾸리하네..


http://en.wikipedia.org/wiki/Estrogen

Estrogens, in females, are produced primarily by the ovaries, and during pregnancy, the placenta.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stimulates the ovarian production of estrogens by thegranulosa cells of theovarian follicles andcorpora lutea. Some estrogens are also produced in smaller amounts by other tissues such as the liver, adrenal glands, and the breasts. These secondary sources of estrogens are especially important in postmenopausal women.Fat cells produce estrogen as well.[8]


산소 포화도가 95% 이상, 80% 이상 어느 것이 정상인지 묻는 이상한 문제도 있네.

동맥인지 정맥인지 표시도 안해주고..


by 언제나19 2013. 12. 14. 13:33




University of Washington

Computer Networks


선생님이 집에서 강의.

내용이 잘 구성되어 있다. 기본에 충실하고, 현장에서도 도움이 된다.

내용 전달도 적당히 효과적인 편.

알아두어야할 내용이 많다.


가끔 부인으로 보이는 분이 배경에서 장난을 친다. 행복한 집일 것 같다.



by 언제나19 2013. 12. 13. 02:08


University of Melbourne

Epigenetic Control of Gene Expression

단조로운 음색의 강의

여자 선생님이 낮은 목소리로 가르쳐 준다.

집중해서 봐야 하는데, 집중을 잘 못했다.

최근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들었다. gene에 의해 이미 사람의 형질이 결정된 것이 아니라 후생적으로 경정되는 것도 많다는 사실이.



week3

x 유전자 inactivation이 중요한가보네.

week3 내내 그 얘기


week5


Completed

The Dutch Famine human epidemiological studies and the Developmental Origins of Adult Health and Disease (9:37)


태아?가 굶으면 커서 당뇨병이 걸리고, 뚱뚱해진다. - 네덜란드 기아 시기 관찰


Completed

Mouse and rat studies on paternal effects of chemical exposure, effects of maternal behaviour on epigenetic makeup(14:10)


엄마쥐가 무관심해서 애기쥐를 잘 안핥아주면, 애기들이 스트레스 받는 어른쥐로 자란다.



Week Six


Completed

Overview of cancer epigenetics (7:17)

강의 문 닫기 전에 이것까지 봤던 것 같다.



by 언제나19 2013. 12. 13. 01:13

University of Pittsburgh
Disaster Preparedness


시골에서 억척스럽게 살았을 것 같은 아저씨가 선생님이다.

일종의 보이스카웃 교육인 셈.

재난이 났을 때, 어떻게 해야 목숨을 부지해야 할 수 있는지 배운다.


정말로 나무를 비벼서 불을 지필 수 있네.

요령이 필요하겠다.


학문적인 내용은 별로 없는데,

적은 내용을 너무 긴 시간에 배우는 셈.


하지만, 알아둬야할 내용은 많다. 평소에 준비해 둬야지.



by 언제나19 2013. 12. 12. 01:22